<품사>
품사 설명을 굉장히 새롭게 하신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타 선생님과 다른 내용을 설명하셨다는 뜻은 아니구요! 설명 방식이 좀 더 친근하다고 할까요. 대명사 설명을 명사반복 ‘대타’ 라고 말씀하신다던가 전치사가 명사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런 말이 다른 선생님들은 안 쓰시는 표현이니까 새로웠습니다. 그래서 더 기억에 잘 남았던 것 같구요. 전치사가 명사의 충돌을 방지해준다는 건 한국말로도 “나 아가씨 건달들 봤어” 라고 하지 않고 아가씨와 건달들 이렇게 말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형용사에서 예쁘다, 쉽다, 키가 크다 이런식으로 말하지 말고 예쁜, 쉬운, 이렇게 어미를 정확히 외워야 한다는 것도 강조하셨습니다. 저도 예전엔 그냥 의미만 맞으면 어미까진 정확히 신경쓰지 않고 단어 다 외웠다~ 하고 말았는데 언제부턴가 아 이러면 안되는구나 하는 걸 깨달아서 요즘엔 좀 더 정확히 외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필수성분>
1) 주어: 주체. “은, 는, 이, 가”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이 S로 쓰임
2) 동사: be동사(-이다 / ~에 있다 둘 중 하나로 해석됨), 일반동사, 조동사
3) 목적어: 동사의 대상. “~을/를, ~에게”
4) 보어: She is a teacher. 그녀가 선생님이고 선생님이 그녀다.
She is pretty. 그녀가 예쁘고 예쁜 건 그녀다.
-
- 수식어: 거품. 걷어내야 한다! (=필수 성분이 아니다.)
- 구와 절: 단어들의 모임. 동사가 있으면 절, 없으면 구.
<중요 법칙>
- 한 문장 안에는 V가 하나만.
- S, V는 반드시 붙어 있지 않고, 그 사이에 있는 것은 수식어